티스토리 뷰

포켓의학사전

대동맥박리 증상

빛날찬데디 2023. 7. 26. 06:00

극심한 가슴통증 대동맥 박리 예방하는 방법은 금연과 혈압관리 뿐입니다.

 

혈액공급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만약 우리 몸에 혈액이 순환하지 않는 다면 우리는 수분내에 사망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혈액이 순환하지 않는 다는 것은 산소를 공급할 수 없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심장은 멈추지 않고 잘 뛰고 있는데 뭐 때문에 혈액이 순환되지 않는 거지?"

라고 궁금해 하실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우리 몸으로 혈액이 나오는 첫번째 길이 대동맥 입니다.

그런 대동맥에 문제가 생긴다면 자연히 전신에 혈액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지 않을 것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대동맥 박리가 어떤건지, 증상은 어떤지, 진단 및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

예방법은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대동맥 박리 aortic dissection

대동맥은 우리 몸의 가장 크면서 가장 굵은 혈관입니다. 심장에서 뇌, 팔, 다리 및 내장기관을 포함하는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모든 동맥이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옵니다. 만일 대동맥이 찢어진다면 발생 직후 30~40%가 현장에서 사망할 수 있어 아주 치명적입니다.

 

 대동맥은 심장에서 몸 전체로 혈액을 공급하는 중심혈관으로 꽤 튼튼하고 두꺼운 관입니다. 가장 안쪽에 내막 그리고 근육으로 이뤄진 중막, 바깥쪽에 외막 등 총 3겹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름이 3cm정도로 심장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하행 대동맥과 머리 쪽으로 올라가는 상행 대동맥, 활 모양의 대동맥궁으로 나뉩니다. 나이가 들면서 동맥경화가 진행하면 대동맥도 막히거나 늘어나거나 찢어지거나 혹은 파열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든 모두 위험하지만 대동맥이 찢어진 경우는 초응급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동맥 내막이 찢어져 내막에 흐르던 혈액이 중막 쪽으로 흘러 들어가는 질환이 ‘대동맥 박리’입니다.


증상

한편으로는 ‘터진 것도 아니고 막 하나가 찢어졌으니, 다른 막이 있으니까 괜찮은 거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혈액이 지나는 원래 통로가 찢어지면서 중막과 외막 사이에 가짜 통로가 생기고, 이 가짜 통로는 원래 통로를 압박하기도 하고 가짜 통로 혈관이 부풀어오르거나 쉽게 파열될 수 있습니다.

 

이때 환자는 앞가슴이나 등 부위에 찢어지는 듯한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숨이 차거나 기침을 하고, 실신을 하기도 합니다. ‘칼로 찢는 것 같다’, ‘천둥번개가 치는 것 같은 통증이다’라는 표현을 하며, 통증은 몇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상행 대동맥에 문제가 생기면 경동맥이 차단되어 뇌 혈류에 이상이 생기면 몸 한쪽의 감각이 없어지거나 마비가 오는 등 신경학적 증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이 분지되는(원래 줄기에서 갈라져 나감) 대동맥궁 부위의 박리가 진행하면 급성심근경색과 동일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대동맥박리는 최대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혈압과 맥박수를 안정시키고 내과적인 치료를 시행하며 상행대동맥 박리의 경우에는 수술이나 혈관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며 하행대동맥 박리는 파열 등의 합병증이 의심되지 않는다면 약물치료가 우선입니다. 수술 및 시술을 통해 인조혈관치환 혹은 스텐트 삽입을 통하여 박리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열 가능성이 큰 대동맥 부위를 치료합니다. 과거에는 응급 수술을 받더라도 사망이나 합병증 위험이 상당히 높았지만, 최근에는 의학기술의 발달과 수술기법의 발전으로 48시간 내 사망률은 5.8%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2022년 미국 의학협회 저널-심장학, JAMA: Cardiology)


생활 가이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이후로 매년 3만명 이상의 대동맥박리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동맥박리의 주요한 원인은 고혈압입니다. 대동맥박리 환자의 80%정도가 고혈압을 갖고 있으며 노화, 동맥경화, 외상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젊은 나이에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였거나 가족력이 있다면 말판 증후군 등의 유전성 대동맥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대동맥박리 예방의 기본은 금연과 혈압조절입니다. 대동맥박리증은 천천히 오는 게 아니라 어느 한순간 혈관이 찢어지면서 발생하므로 전조증상이 없습니다.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금연, 식습관 관리, 적절한 운동과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적극적인 혈관 관리가 필요합니다.


'대동맥 박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동맥 박리의 진짜 무서운 점은 전조 증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전조 증상은 없지만 문제가 생기면 사망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금연과 정상혈압을 유지하셔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유지 하십시오.

 

반응형

'포켓의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절내사시 종류 및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0) 2023.07.27
간헐외사시 수술 및 원인  (0) 2023.07.27
당뇨망막병증 증상  (0) 2023.07.25
녹내장 증상  (0) 2023.07.24
백내장 증상  (0)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