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응급실 이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요즘 응급실에 응급환자들이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이 없다는 뉴스들이 종종 나오고 있습니다. 왜 응급실에는 응급환자가 아닌사람들이 많이 있는 걸까요? 그걸 알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체계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대학병원 즉 3차병원 진료를 보기 위해서는 먼저 1차병원(의원급)이나 2차병원(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의뢰서를 작성해서 3차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의료보험을 적용 받을 수있습니다. 

 

하지만 119구급차를 타고 응급실에 방문하면 그런 절차 없이 대학병원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만 아프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꼽수로 119를 불러 새벽에 대학병원 응급실에 방문하고 다음날 대학병원 진료를 받는 것입니다. 이게 바람직한 걸까요? 당연히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보다 응급실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응급실 이용 때문에 새벽녘 대학병원 응급실 앞아는 구급차가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정작 응급실을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은 이용하지 못하는 응급실 이대로 괜찮을 까요? 오늘은 응급실 이용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응급실이란?

 

한밤중 다쳤을 때, 갑자기 쓰러졌을 때, 허리를 삐끗하여 움직일 수 없을 때, 열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때, 열이 나고 배가 아플 때, 아이가 다치거나 아플 때 등 이때엔 365일 24시간 항상 운영되고 있는 응급실로 가야합니다. 응급실은 모든 외상 환자나 질환 환자가 한곳에 모여 진료 받고 응급의학과 의사가 먼저 진료를 본 후 각과의 전문의에게 진료로 연계됩니다.

 

응급의학과 의사의 진료만으로 끝이 나는 경우도 있고 중증도에 따라 다른 과로 입원하거나 상급병원으로 전원을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응급실 환자 분류 방법

 

응급실은 예약 없이 가는 곳이기 때문에 일반 진료와 달리 중증도(응급)에 따라 분류됩니다. 1차적으로 간호사가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환자 분류소에서 방문한 이유, 나이와 성별,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등의 혈역학징후를 조사합니다.

 

원무과에서 접수는 환자 방문 순서대로 하지만 진료는 중증도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내(혹은 내 가족) 차례가 뒤로 밀려 기약없이 기다릴 수도 있습니다. 단순 열상이나 혈역학징후가 정상인 젊은 환자의 경우는 중증도가 낮아 진료와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입니다.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또한 모든 환자가 무조건 큰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로 가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심뇌혈관질환이나 중증 외상처럼 골든 타임이 중요한 사항이라면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이나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경증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갔다면 오랜 시간의 기다림과 더 많은 진료비를 감내해야 할 것입니다. 대학 병원 급으로 모든 환자가 몰리게 되면 의사는 경증환자와 중증환자를 모두 보느라 중증환자가 적절하고 빠른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응급실 사용 방법

 

평소 앓고 있던 질환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동안 다니던 병원을 우선 이용해야 합니다. 주치의가 환자의 상태를 가장 빨리 파악할 수 있고 자신의 의무 기록이 있기 때문에 치료하는 의사가 참고하여 진료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38℃ 이상의 발열이 있고 경기를 일으키거나 평소와 달리 축 쳐져 있거나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을 먹을 경우에는 가까운 응급실 혹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있는 소아전문응급실이나 늦은 밤까지 열려 있는 달빛어린이 병원을 이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치료를 할 수 있는 범위가 다를 수 있기에 119에 연락하여 도움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실 이용방법

 

갑작스런 허리 디스크 파열로 움직일 수 없을 때, 사고로 인한 외상이나 골절, 찢어진 부위를 꿰매야 할 때는 치료 경험이 풍부한 전문병원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골절은 어린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육안으로 뼈의 변형이 보이지 않더라도 상처부위를 잡아서 눌렀을 때 통증을 호소한다면 병원으로 이동해 반드시 골절의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머리나 목, 허리, 고관절 등을 다쳤다면 발견 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고정해 119에 신고 후 이송해야 합니다. 손상부위를 고정하지 않고 이동시 환자는 2차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팔뼈나 무릎, 발목 등도 부목을 이용해 고정 후 병원으로 이동합니다.

 

응급실 치료 가능 범위

 

응급실에서 모든 처치와 검사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응급실은 응급상황에 맞는 시술과 처치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응급환자에게 필요한 검사는 응급실에서 가능하나 외래에서만 가능한 검사도 있습니다. ‘내가 바빠서 외래 시간을 맞출 수 없어서 응급실에서 응급진료를 받겠다’, ‘약만 처방 받으면 되니 응급실로 가겠다’며 다소 황당한 이유로 응급실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응급실의 뜻과 역할부터 설명해야 하는 씁쓸한 상황입니다.

 

응급실 직원 

 

때때로 응급실에 근무하는 응급의학과 의사 또는 간호사들은 많이 바빠 보여서 불친절해 보이고 환자를 위하지 않아 보일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잠시 입장 바꿔 생각했을 때 365일 24시간 밤근무, 연휴 근무 등 열악한 상황에서도 굳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이들은 자신의 이익보다 환자를 위하기 때문에 이 직업을 택한 경우가 많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본의의 진료가 다소 늦어지더라도 ‘나보다 더 급한 환자가 있을 것이며 여기서 진료 받는 것이 가장 빠른 진료다’라고 생각하며 의료진에게 협조한다면 좀 더 나은 응급실 문화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결론 

 

오늘은 응급실 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위에서 말한 것 처럼 응급실은 말 그대로 응급한 상황에 있는 환자들이 이용해야 하지만 본인의 이득을 위해서 무리하게 응급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어 매우 걱정입니다. 지금 포스팅을 일고 있는 여러분들은 본인에게 맞는 진료를 받고 응급실은 정말 응급한 상황에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우리가족이 정말 초응급 상황에서 병원에 자리가 없어서 생명을 잃어 버린다면 얼마나 씁씁할까요? 응급실은 말 그대로의 응급실로 나두고 필요한 진료는 다음날 진료예약을 하고 진료를 받기를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도 도움이 되는 건강 상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응급실 이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응급실 이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응형